네이버 광고 품질지수와 클릭률로 보는 효율 어려운 용어정리 3편

피코소프트 디자이너
피코소프트 디자이너 2025.08.29 15:21
  • 홈페이지공개
  • 조회수 3
  • 댓글수 0

1279


안녕하세요 피코소프트 박상민 영상 디자이너입니다. 이전 시간에는 네이버 입찰가에 대하여 포스팅을 작성하였습니다.

이번에는 네이버 광고에서 정말 중요한 부분인 품질지수와 클릭률에 대하여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저는 이 두 가지를 알게 되면서 광고 기획에 맞는 콘텐츠 제작, 광고 성과에 따른 분석과 운영 부분도 덩달아 관심이 생겨 자연스럽게 공부를 하기 시작하였습니다.



그 만큼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며 이번 네이버 광고 품질지수와 클릭률 어려운 용어정리 3편을 시작해 보겠습니다. 



01
네이버 광고 품질지수



1280

1281
네이버 광고 센터 참조


품질지수란?

저번시간에 광고 그룹을 생성하였는데요. 이후 배터리 잔량 표시 UI와 비슷한 형태의 품질지수를 볼 수 있습니다.
처음 시작을 하면 7개 막대 중 4칸이 채워져 시작합니다.


1~2칸 : 다른 광고에 비해 품질이 좋지 않음

3~5칸 : 보통의 품질

6~7칸 : 다른 광고에 비해 광고 품질이 높음



시간이 지날수록 사람들의 반응에 따라 품질 지수는 변동될 수 있으며, 광고의 품질을 나타냅니다.​


1282

어떻게 지수를 올릴 수 있을까?

품질 지수를 올리는 방법은 공식적으로 공개한 적은 없습니다. 규정을 잘 준수하여 업로드를 진행하는 것이 기본입니다.
시간이 지나 변동이 되는 것으로 보아 클릭수, 조회수, 체류시간 등으로 품질 지수의 영향을 주는 느낌입니다.


적합한 썸네일, 제목, 내용을 기본적으로 잘 작성하도록 합니다. 링크를 클릭 후 등장하는 상품의 상세페이지 또는 랜딩 페이지,
기타 홈페이지 페이지 등에 대한 내용 또한 스크롤을 내리면서 볼 수 있도록 잘 구성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이후 구매까지 발생된다면 품질의 상승이 될 수 있습니다.


1283


품질지수가 높다면?

품질 지수가 높을수록 해당 굉장히 긍정적인 영향을 주게 됩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카테고리, 동일한 입찰가로 설정한 두 업체의 광고가 있습니다.
이때 품질 지수가 높은 광고가 더 높은 순위를 가집니다.
그래서 상대적으로 낮은 비용으로도 노출에 유리하여 더욱 효율적입니다.


결론적으로 품질 지수가 높다면 효율이 좋으면서 비용이 낮아질 수가 있는데 이는 높은 광고 신뢰도에 따른 혜택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02
클릭률로 보는 광고 효율



1284


조회수와 클릭수

노출수는 광고가 노출이 된 회수를 뜻합니다.

클릭수는 말 그대로 클릭 회수입니다. (이때 파워링크, 쇼핑 광고 등 비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1285


클릭률 계산법

클릭수 나누기 노출수 곱하기 100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클리수/노출수 x 100 = 클릭률


----------------------


클릭률로 알아보는 광고 효율성


클릭률은 약자로 CTR (Click-Through Rate)입니다. 광고 게시 위치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보통은 1~3%를 평균으로 잡고 운영을 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미 대중적인 브랜드는 5%까지도 목표를 잡는다고 합니다.

조회수는 많지만 클릭이 적은 경우는 썸네일, 제목, 내용 등을 수정해 보세요. 신뢰를 주는 내용으로 클릭을 유도합니다.
거짓말이나 과장한 내용으로 하신다면 품질 지수가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클릭은 많지만 구매가 적은 경우는 랜딩페이지, 상세페이지, 상품소개페이지 등이 원인일 수 있으니 이 또한 수정을 하면 경과를 지켜보는 것을 권장합니다.


오늘은 품질지수와 클릭률로 보는 광고 효율에 대하여 네이버 광고 어려운 용어를 정리해보았습니다.
조회수, 클릭수, 클릭률은 다른 온라인 광고와 동일한 형태이니 다양하게 활용하면 좋겠네요.



질문이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최대한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해당 게시물 블로그에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