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 성공적인 아트 마케팅 사례

피코소프트 디자이너
피코소프트 디자이너 2025.08.29 14:15
  • 홈페이지공개
  • 조회수 4
  • 댓글수 0

1220





아트 마케팅은 판매하고자 하는 제품에 예술적 요소를 접목시킨 마케팅 전략을 의미합니다. 

단순히 기능이나 효율을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예술적 감성과 디자인을 담아 제품의 가치를 높이고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하는 방식입니다.



---------------------------------------


:아트마케팅의 배경과 필요성



현대 사회에서는 문화, 예술, 엔터테인먼트에 대한 사람들의 수요가 점점 증가하고 있습니다.

기업은 이러한 흐름에 맞추어 제품을 단순히 ‘소비재’로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예술적 가치를 담은 아트 제품으로 포지셔닝하여 

소비자의 감성을 공략합니다.




이러한 아트마케팅의 효과는 

문화와 예술, 엔터테인먼트에 대한 사람들의 수요가 늘어나며 

이러한 형태와 더불어 기업 이미지와 인지도를 높여 나가는 고도의 마케팅 방식입니다. 



---------------------------------------



​:아트마케팅의 산업 경제 시대와의 차이



과거 산업경제 시대에는 제품의 기능과 대량생산이 핵심이었기 때문에, 

지금처럼 화려한 디자인이나 예술적 감성을 강조하는 아트 마케팅은 크게 부각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제품의 기능뿐 아니라 디자인, 감성, 문화적 의미가 중요한 경쟁 요소로 자리 잡았는데요.



---------------------------------------



소비자는 필요한 제품을 구매할 때 제원과 용도를 확인하게 되는데

다양한 매체를 통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구매자는 오늘날 똑똑한 소비자, 

즉 ‘스마트 컨슈머’로 불리며 합리적인 소비를 취하고 있습니다.



오늘날 제품에 예술가의 미적인 감각을 추가해 탄생한 

‘아트 콜라보’ 제품은 스마트 컨슈머를 포함한 모든 소비자에게 구매 욕구를 상승시켜 

기업의 이윤 추구를 위한 목적을 달성하도록 돕게되는데요.

예술 작품의 저변 확대에도 이바지하는 아트 콜라보 제품이 국내 시장을 강타하고 있습니다.




아트마케팅 성공사례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221
[출처] 우유팩 포장에 명화(art)를 붙였더니 판매가 증가한다고?] 작성자 인터비즈




덴마크 모카라떼 명화 컬렉션



2007년 12월 동원F&B는 다빈치, 르누아르, 루벤스 등 유명 아티스트의 작품을 실어서


 ‘덴마크 카푸치노’, ‘덴마크 모카라떼’ 등 6종의 ‘덴마크 명화 시리즈’를 출시했습니다.





1224
LG Display – AI-driven NFT artwork on Transparent OLED




LG전자 OLED 디스플레이 기반 아트 마케팅 주요 사례

• MMCA×LG OLED Series – TZUSOO 전시



국립현대미술관(Seoul Box)에서 미디어 아티스트 TZUSOO의 작품 “Agarmon Encyclopedia: Leaked Edition”을 88대의 55인치 LG OLED 스크린으로 대형 미디어월 형태로 전시했습니다.

OLED의 완벽한 블랙 표현과 생생한 컬러가 시각적 몰입감을 극대화하며 작품의 예술성을 극대화했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 LG OLED ART 프로젝트



LG는 Frieze London, 갤러리 및 아트페어 등 다양한 예술무대에 참여하며, 작품을 디지털 캔버스로 표현하는 전략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Sir John Akomfrah의 영상 작품 “Becoming Wind”를 다채널 영상과 사운드로 구현하는 전시가 있었습니다.

• Digital Art Fair – 플래티넘 스폰서 및 디스플레이 협업



LG는 홍콩에서 열린 Digital Art Fair에 2년 연속 공식 스크린 파트너로 참여하며,

**97인치 무선 OLED TV (Signature OLED M)**를 활용해 예술 작품을 전시하거나

Transparent OLED Signage 위에 디지털 아트를 띄워, 실제 환경과 예술을 융합하는 시도를 진행했습니다.




1225

2023 아트페어 프리즈 서울 전시회에서 W컨셉 부스 사진 (출처: 신세계그룹 뉴스룸)



W컨셉 프리즈 아트마케팅 사례


• MMCA×LG OLED Series – TZUSOO 전시



국립현대미술관(Seoul Box)에서 미디어 아티스트 TZUSOO의 작품 “Agarmon Encyclopedia: Leaked Edition”을

88대의 55인치 LG OLED 스크린으로 대형 미디어월 형태로 전시했습니다.




다음은 2030세대가 모여드는 세계 3대 아트페어 프리즈 서울 Frieze Seoul 2023을 

겨냥한 W컨셉의 아트마케팅 사례인데요.



W컨셉은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팝아티스트 임지빈 작가와 협업하였습니다. 



아트페어에 설치된 베어 벌룬을 통해 치열하게 살아가는 현대인을 응원함과 동시에, 

패션과 예술을 한데 모은 옷장이라는 개인 공간에서 자기 정체성을 찾는 과정의 즐거움을 

예술적으로 재해석한 전시를 선보였습니다. 



사흘 동안 8만여명의 방문객이 다녀간 아트페어는 

브랜드가 단기간에 효율적으로 고객들에게 접근할 수 있는 장소가 되었습니다.



​---------------------------



위처럼 아트마케팅의 성공사례를 살펴보았는데요.


마케팅의 성공적인 사례를 파악하는 좋은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 해당 게시물 블로그에서 보기

https://blog.naver.com/qortmdgms/223984249902